전체 글 111

#개혁주의 #장로교 안양쪽에 위치한 교회 소개합니다.

교회는 작지만 목사님이 개혁주의를 지식뿐만 아니라 목회실천에서도 실천을 건전하게 하고 계신다고 생각합니다.저희 교회는 사도로 부터 이어진 초대교부들의 신앙정신을 따라 일어난 종교개혁의 열매를 하나님의 역사로 받아들이며, 그 역사를 따라 세워진 장로교적 개혁신학자(칼빈주의자)들과 그 검증된 벨직 신앙고백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도르트 신조,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를 존중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모든 표현들을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고 영원토록 그를 즐거워하는 것"을 최대의 목적으로 삼는 신앙정신으로 고백합니다.이러한 바탕속에 담임목사님이 말씀설교의 내용이 깊으시고, 상기 교리 내용, 서구에서 우리나라까지의 기독교 역사의 흐름과 사상들에 대해서도 그 내용과 요점을 아주 탁월하게 세심하고 깊이있게 알고 계시고..

신앙 2025.05.12

보이는 교회란 교회당을 말함이 아니다

기독교의 정통교리중에 보이지 않는 교회(불가시적 교회), 보이는 교회(가시적 교회)라는 개념이 있다. 정통신학의 정수인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에서는 보이지 않는 교회란 과거, 현재, 미래 모든 택한 성도의 모든 수효를 말하며(엡 1:3-10, 23) 보이는 교회란 현재 전 세계적으로 살아서 신앙고백하는 모든 사람들과 그들의 자녀로 구성된 것(고전 1:2, 12:13)인데 이 안에 택자와 비택자 다 섞여있다. 그러므로 교회당이라는 물리적 교회건물이 보이는 교회의 개념이 아니라 현실에서 그 신앙고백을 하는 자들의 공동체가 보이는 교회이다. 보이는 교회를 교회당 건물로 생각해서 나오는 잘못된 생각이 바로 카톨릭이나 개신교 일부 부류에서 교회건물을 성전이라고 지칭하는 오류이다. 구약의 성전은 신약에서 1차적..

신앙 2025.05.12

구약은 유대교이고 신약만 기독교인가?

흔히들 생각하듯 유대교는 구약 이스라엘 역사에서 처음부터 있었던 종교가 아닙니다. 이스라엘이 솔로몬의 아들때에 북이스라엘과 남유다로 갈라졌는데 북 이스라엘은 BC 722년에 앗수르에 멸망하고, 남아있던 남유다마저 BC 586년에 바벨론에 멸망하며 70년간의 포로생활 후 페르시아의 도움으로 다시 귀환하게 되는데 여기서 유대인이라는 명칭이 유래했습니다. 신약과 구약의 중간기인 BC 4C에 이민족의 핍박을 받던 유대인 중 하시딤을 통한 경건운동의 시작으로 유대교가 생겼습니다. 이 유대교의 대표적 집단이 신약성경에 예수님을 대적했던 모습으로 나오는 바리새파, 사두개파입니다.그러므로 유대교는 구약과 신약의 중간기때 생긴 것이지 원래 구약 종교가 유대교 아닙니다. 오히려 구약도 오실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기독교인 ..

신앙 2025.04.18